초급 한국어 말하기 앱 개발 연구, D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, 한국언어문화학 20-2,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, 131-150, 2023.
메타버스를 활용한 TOPIK 말하기 연습 방안 연구, 문화와융합 45-6, 한국문화융합학회, 119-132, 2023.
한국어 중급 교재의 쓰기 과제 구성요소 분석, 기능별 교재를 중심으로_문화와융합 45-5, 한국문화융합학회, 495-507, 2023.
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재 분석, 장르 지식 분석을 중심으로, 국제어문 97, 국제어문학회, 289-309, 2023.
터키 학습자를 위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, 국제어문 93, 국제어문학회, 377-393, 2022.
보조사 교육에 대한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조사, 국제어문 92, 403~428, 2022.
메타버스(Metaverse)를 활용 초급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-메타버스 플랫폼 ZEP을 중심으로, 문화와융합 44-10, 한국문화융합학회, 99-116, 2022.
메타버스(Metaverse)를 활용한 한국어 역할극 활동 방안 연구,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66, 193-230, 2022.
상호텍스트성 그림책 접근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, 문화와 융합 44-7, 한국문화융합학회, 47-62, 2022.
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_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, 한국언어문화학 17-2,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, 247-277, 2020.
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_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, 동악어문학 81, 동악어문학회,135-168, 2020.
외국인 유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연구_D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트랙’을 중심으로, 동악어문학 80, 동악어문학회, 445-470, 2020.
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초급 한국어 교육 방안_대학부설 한국어교육기관의 교재를 중심으로, 교육문화연구 26권 2호, 837~864, 2020.
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_D대학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, 새국어교육 125, 한국국어교육학회, 291-328, 2020.
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설계_D대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,교육문화연구 26-4,381-405, 2020.
한국어 교재 개발의 실제_동국대학교 중급교재를 중심으로, 국제언어문학 41, 국제언어문학회, 115-144, 2018.
글로벌 한국학 과정 설계_D대학교 유학생 교육과정을 중심으로, 교육문화연구 24-2, 교육문화연구소, 159-180, 2018.
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교육 방안에 대하여 동국대 초급 교재를 중심으로,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, 363-374, 2017.
간접 인용 표현의 제시 양상, 국제언어문학 35, 국제언어문학회, 179-205, 2016.
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통합교재 단원구성 전략 분석, 국제언어문학 32, 국제언어문학회, 203-229, 2015.
한국어 교육을 위한 준말 연결형식 연구, 한국어문학연구, 한국어문학연구학회 63, 559-583, 2014.
한국어 교육을 위한 듯 연구, 한국언어문화학 10-1,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, 207-228, 2013.
한국어 교육에서 구어의 중요성, 동악어문학 60, 동악어문학회, 395-420, 2013.
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_듯_의 교수 방안 연구,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학술대회 2012-1, 45-53, 2012.
한국어 교육을 위한 준말 종결형식 연구,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, 2011.
한국어 교육을 위한 준말 종결어미에 대하여, 한국언어문화학 8-1,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, 205-230, 2011.
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크메르어의 대조 분석 연구, 한국어 교육 22-1, 국제한국어교육학회, 257-278, 2011.